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8. 구미 금오산 / 2015.10.31. / 산타모니카 산행이야기(24)

100대명산 산행기(카스)/48. 구미 금오산

by 산위에서 부는 바람 2025. 4. 11. 08:30

본문

728x90
반응형

100대명산 48차 구미 금오산

10월의 마지막날 가을은 그렇게 절정에 와 있었어요

 

 

산행기록

○ 일시 : 2015.10.31 11:00 ~ 15:00

○ 장소 : 구미 금오산

○ 참석 : 1인

○ 높이 : 금오산 976m / 누적고도 700m추정

○ 거리 : 8.0km

○ 시간 : 4.0시간 / 이동시간 4시간

○ 배지 : 금오산

○ 코스 : 금오랜드 - 대혜문 - 도선굴 - 대혜폭포 - 할딱고개 - 금오산 - 약사암 - 캠핑장 - 금오랜드

○ 특이사항 : 가을날의 조망산행

 

 

<금오산 金烏山 >

높이는 976.5 m이다. 주봉인 현월봉(懸月峯)과 약사봉(藥師峰), 영남8경 중의 하나인 보봉(普峰)이 소백산맥 지맥에 솟아 있으며, 시생대(始生代)와 원생대(原生代)에 속하는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산 정상은 비교적 평탄하나 산세가 높고 기이하며, 고려시대에 자연 암벽을 이용해 축성된 길이 2km의 금오산성이 있어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요새지로 이용되었다.
기암괴석이 조화를 이루고 계곡이 잘 발달되어 경관이 뛰어난 산으로, 1970년 6월 한국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해운사·약사암·금강사·법성사·대원사 등의 고찰과 고려 말기의 충신 야은 길재(吉再)를 추모하기 위해 지은 채미정(採薇亭), 신라시대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수도하던 도선굴을 비롯해 명금폭포·세류폭포 등이 있다. 금오산 마애보살입상(보물 490), 선봉사 대각국사비(보물 251), 오봉동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245) 등의 유서 깊은 문화유적이 많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오산 [金烏山]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금오산 정상표지석

아도화상이 노을 속으로 나는 황금빛 까마귀[금오(金烏)]를 보고 금오산이라 이름 붙였다 전한다. 3개 시·군에 걸쳐 있지만, 금오산 하면 구미의 산으로 알고 있을 정도로 구미 금오산 주변에 등산로와 볼거리가 많다.

 

금오산 산행지도

 

주차장

 

최초의 도립공원이라고 함

 

대혜문

 

영흥정

 

불타는 단풍

 

도선굴 가는길

 

도선굴

도선굴은 경상북도 구미시 금오산에 위치한 자연동굴로 도선 대사가 도를 깨우쳤다고 전해지는 장소다. 통일신라의 승려인 도선은 풍수지리설을 처음 도입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도선굴은 고려의 대각국사와 야은 길재 등이 찾아와 은거할 만큼 절경이지만, 오랜 세월 오르는 길이 없어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결국 1937년에서야 이를 안타깝게 여긴 당시 구미 면장과 마을 사람들이 힘을 합쳐 통로를 내고 동굴 입구 벽에 기록을 남겨 두었다고 한다. 금오산 도립공원에서 출발해 50분 남짓이면 도선굴에 이를 수 있는데, 오르는 길이 매우 가파르고 미끄러워 주의가 필요하다. 도선굴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멀리 구미공단과 낙동강, 해평면 냉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동굴에서 나와 오른쪽으로 조금만 걸어 올라가면 28m 높이의 대혜 폭포가 시원스럽게 물줄기를 쏟아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선굴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케이블카

1974년에 개통한 금오산케이블카는 총길이 805m로 해운사가 있는 산중턱까지 편도 약 6분이 소요된다. 내부에 최대 51명이 탑승할 수 있을 만큼 널찍하고, 최근 설치된 케이블카와 달리 양쪽으로 개방된 창문 덕분에 시원한 바람과 탁 트인 전망을 오롯이 즐길 수 있다. 푸른 산자락과 대비되는 붉은색 외관도 이국적이다. 케이블카가 도착하는 해운사에서 금오산 정상까지는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그러나 깔딱고개로 불릴 만큼 가파른 경사 때문에 신발이나 마실 물 등이 충분히 준비된 상태에서 올라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오산케이블카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대혜폭포 (올해는 영...)

 

금오산 대혜골의 해발고도 약 400m 지점에 있는 폭포로, 높이는 28m이다. 폭포수가 떨어지는 소리가 금오산을 울린다 하여 명금폭포(鳴金瀑布)라고도 불린다. 폭포 아래에 형성된 넓은 소(沼)는 하늘의 선녀가 내려와 목욕을 즐기는 곳이라 하여 욕담(浴潭) 또는 선녀탕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인조 때의 학자 여헌 장현광의 문도들이 연중행사처럼 폭포를 찾아 목욕을 즐기고 시회를 가졌다고 전해진다. 폭포 옆 암벽에는 ‘욕담’이라는 예서체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장현광의 문도 중 한 사람인 김공이 폭포 근처 도선굴 아래에 움막을 짓고 학문을 닦다가 새긴 것이라 한다. 대혜폭포 오른쪽으로 펼쳐진 절벽의 위태로운 벼랑길을 따라가면 신라 말의 고승 도선이 수행했다고 알려진 천연동굴 도선굴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혜폭포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할딱고개 오르는 길

 

만산홍엽

 

금오산성

금오산성(金娛山城)은 대부분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해 있고, 남쪽의 성벽은 경상북도 칠곡군, 서쪽의 성벽은 경상북도 김천시에 속해 있다. 내성은 해발 976.5m 현월봉의 금오산 정상부를 감싸면서 퇴뫼식으로 축조하였고, 외성은 정상부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계곡을 낀 능선에 포곡식으로 축조하였다. 성벽의 둘레는 내성 5,510.75m, 외성 4,370.12m로 총 9,880.87m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오산성 [金娛山城]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을산

 

얼음이 얼음

 

현월봉(금오산 정상)

 

구미시내전경

 

약사암(사진이 생각처럼 잘나오지 않음)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로, 금오산(金烏山, 977m) 정상의 약사봉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당시의 유물은 발견된 바 없으며, 1618년(광해군 10) 간행된 <일선지 一善誌>, 1799년(정조 23) 간행된 <범우고 梵宇攷>에 고찰(古刹)이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 고종 때 편찬된 <영남진지 嶺南鎭誌>에는 ‘법당은 8칸으로 성내(城內) 삼리(三里)에 있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약사암은 약사전·삼성각·일주문·종각·요사로 구성되어 있다. 1985년 기암절벽 아래에 남향으로 건립한 약사전은 정면 4칸·측면 2칸 규모의 다포계 팔작지붕집으로 약사암의 중심법당이다. 내부에 신라 말 또는 고려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강암으로 조성한 석조여래좌상이 모셔져 있다.

1935년 우상학이 지은 ‘약사암중수기’에 본래 지리산에 있던 석불 3기 중 1기를 이곳 약사암으로, 나머지 2기를 수도산 수도암과 황악산 삼성암으로 옮겨 봉안했다고 쓰여 있다. 석조여래좌상 좌우로 일광·월광보살이 협시되어 있으며, 후불탱·신중탱·독성탱 등의 불화가 걸려 있다. 요사채 왼쪽으로 약 300m 지점에 있는 바위에는 고려시대에 조성한 높이 5.5m의 금오산 마애보살입상(보물 제490호)이 조각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약사암 [藥師庵]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금오산 마애여래입산

196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오산 정상 바로 밑 암벽에 새겨진 이 마애불상은 전체 높이가 5.5m에 달하며, 불상의 크기는 4.1m이다. 불상이 암벽의 모서리에 있는 새겨져 있어 독특하다. 불상 앞에는 주초(柱礎)가 남아 있고, 불상 주변에서는 기와편이 발견되었다. 불상이 새겨진 바위면에도 목조가구의 흔적이 남아 있어, 이곳이 옛 보봉사(普峰寺)였을 가능성을 뒷받침해 준다.

 

 

컵리면이 제법 맛이 들었다

 

대패집나무 (?)

학명은 Ilex macropoda MIQ.이다. 충청도 이남에서 자라고 중국에도 분포한다. 높이 12m, 지름 30㎝에 이르고, 속리산과 계룡산 이남의 높이 1,300m 이하 산허리와 산기슭의 토심(土深: 흙의 깊이)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자생한다.

잎은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한 군데 모여 달리며, 난형(卵形)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꽃이 딴 그루에 달리며 5월에 피고, 수꽃은 모여 달리지만 암꽃은 1개씩 달린다.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붉게 익어서 관상가치가 높다. 목재는 치밀하고 건조한 후에도 갈라지지 않는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노천매장을 하여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팻집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금오랜드

1993년에 문을 연 금오랜드는 금오산 도립공원 내에 위치하는 놀이동산이다. 사계절 내내 다양한 놀이시설이나 강습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어 가족 단위나 연인들의 휴식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여름철에는 야외 수영장을 운영하고, 겨울철에는 눈썰매장을 운영한다. 또한, 경북 지역 유일의 국제 규격의 실내 아이스링크장은 날씨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이용할 수 있는데, 강습을 원하면 국가 대표 출신 선수들로 구성된 강사진으로부터 체계적으로 스케이트를 배울 수 있다.

구미시 남통동 253번지에 소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오랜드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728x90
반응형